google-site-verification: google419692fb0ee168ae.html 계몽주의 사상과 루소,홉스,로크의 사회 계약설 비교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계몽주의 사상과 루소,홉스,로크의 사회 계약설 비교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중학교육

by 독서전문가 2025. 3. 2. 15:36

본문

반응형

계몽주의 사상:

1. 계몽주의란?

계몽주의(Enlightenment)는 17~18세기 유럽에서 전개된 사상적 운동으로,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며 기존의 권위(전제 군주제, 교회 권력 등)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한 사상이다. 계몽주의자들은 과학적 사고와 합리적 논리를 통해 사회와 정치 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2. 계몽주의의 핵심 원칙:

  1. 이성(Rationalism): 인간의 이성적 사고를 통해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맹목적인 전통과 종교적 교리에 의존하는 것을 거부함.
  2. 자연법(Natural Law): 인간 사회는 자연법에 따라 움직여야 하며, 군주나 종교 권력이 이를 침해해서는 안 됨.
  3. 사회 계약(Social Contract): 국가는 개인 간의 계약을 통해 정당한 권력을 갖는다는 개념. 홉스, 로크, 루소가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함.
  4. 인권(Individual Rights):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가지며, 이는 침해될 수 없음.
  5. 정치 개혁(Political Reform): 절대 군주제와 교회의 권력을 제한하고, 민주주의적 정치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

3.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1.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강력한 정부의 필요성을 주장.
  2.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자유주의적 사회 계약설을 주장.
  3.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국민 주권과 직접 민주주의를 강조.

홉스의 사회 계약설:

1. 홉스의 사상 배경

  • 홉스는 영국에서 절대 왕정이 무너지고 내전(청교도 혁명, 1642~1649)이 일어나 혼란스러운 시대를 경험함.
  • 이러한 사회적 혼란 속에서, 강력한 중앙 권력이 필요하다고 믿음.

'로크'의 사회계약설 (사진 출처:한국경제)

2. 『리바이어던(Leviathan)』에서의 주장:

  •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며 폭력적이어서, 자연 상태에서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가 벌어짐.
  • 이러한 무질서를 피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고 강력한 절대 군주에게 권력을 위임해야 한다.
  • 사회 계약은 개인과 군주(국가) 간의 일방적인 계약이며, 일단 군주가 권력을 가지면 백성들은 저항할 수 없음.

3. 핵심 개념:

  • 자연 상태: 인간은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며, 끊임없는 투쟁 상태에 놓임.
  • 사회 계약: 모든 개인이 자신의 권리를 군주에게 양도하여 질서를 유지함.
  • 절대 군주제: 강력한 국가 권력(리바이어던)이 필요하며, 백성들은 이에 복종해야 함.

로크의 사회 계약설:

1. 로크의 사상 배경

  • 로크는 명예혁명(1688) 이후, 영국의 입헌 군주제가 정착되는 과정을 경험함.
  • 홉스와 달리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함.

2. 『통치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에서의 주장

  • 인간은 본래 자유롭고 평등하며, 자연법을 따르는 존재임.
  • 자연 상태에서도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행동하지만, 사적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필요함.
  • 사회 계약은 국민과 정부 간의 상호 계약이며,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면 저항할 수 있음.

3. 핵심 개념

  • 자연 상태: 인간은 본래 자유롭고 평등하며, 이성을 갖추고 있음.
  • 사회 계약: 국민이 정부에 권력을 위임하되, 정부가 계약을 어기면 국민은 저항권을 행사할 수 있음.
  • 입헌 군주제: 군주의 권력은 헌법과 법률로 제한되며, 국민의 권리를 보호해야 함.

루소의 사회 계약설:

1. 루소의 사상 배경:

  • 루소는 프랑스혁명(1789)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인물이며, 절대 왕정과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강하게 비판함.
  •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존의 사회 질서 자체를 부정하고 민주주의적 이상 사회를 강조함.

2. 『사회 계약론(Du Contrat Social)』에서의 주장:

  • 인간은 원래 선한 존재이지만, 사유 재산 제도와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인해 타락함.
  • 자연 상태에서는 인간이 평등했으나, 문명사회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됨.
  • 사회 계약은 국민 전체가 직접 주권을 행사하는 형태(직접 민주주의)여야 하며, **일반 의지(General Will)**에 따라 공동체가 운영되어야 함.

3. 핵심 개념:

  • 자연 상태: 인간은 본래 선하며 평등하지만, 사회적 불평등이 문제를 야기함.
  • 사회 계약: 국민이 주권을 가지며, 일반 의지를 통해 공동체를 운영해야 함.
  • 직접 민주주의: 국민이 법을 만들고 집행하는 직접 참여 정치가 이상적임.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 계약설 비교:

구분 :홉스, 로크, 루소:

구분 홉스 로크 루소
대표 저서 『리바이어던』 『통치론』 『사회 계약론』
자연 상태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무질서, 혼란) 자유롭고 평등하며 이성을 따름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사회가 타락시킴
사회 계약의 목적 질서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와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평등한 공동체 형성을 위해
국가 형태 강력한 절대 군주제 입헌 군주제 또는 대의 민주제 직접 민주주의
주권의 위치 군주(왕) 국민(하지만 정부에 위임) 국민(직접 행사)
저항권 없음 (군주에 복종) 있음 (정부가 계약을 어기면 저항 가능) 있음 (일반 의지가 최우선)
중요 개념 리바이어던, 절대 군주 저항권, 입헌 군주제 일반 의지, 직접 민주주의

이러한 사회 계약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현대 민주주의와 정치 철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로크와 루소의 사상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혁명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